최근 SSD 시장에서는 DRAM이 탑재된 고성능 SSD뿐만 아니라, HMB(Host Memory Buffer) 기반의 DRAMless SSD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DRAM 탑재 SSD vs HMB SSD – SN850X와 SN7100 비교 분석 참고하세요.
그렇다면 왜 최신 SSD들은 DRAM을 없애고, 대신 HMB 방식을 도입하고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Western Digital의 SN850X vs SN7100을 중심으로 DRAM vs HMB 구조의 차이, 성능 비교, 실사용자 기준 추천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1. DRAM 탑재 SSD vs HMB SSD 구조 차이
항목 | DRAM 탑재 SSD | HMB SSD (DRAMless) |
---|---|---|
DRAM | 내장 DDR4/DDR3 탑재 | 없음, 시스템 RAM 일부 사용 |
파일 맵 관리 | 자체 DRAM에서 고속 처리 | 시스템 메모리 활용, 약간 느림 |
성능 일관성 | ✅ 고속 연속 쓰기 안정 | ❌ 캐시 이후 성능 저하 가능 |
가격/전력/발열 | ❌ 비싸고 발열↑ | ✅ 저전력, 발열↓, 가성비↑ |
HMB 기술 | 불필요 | 필수 (운영체제가 지원해야 함) |
2. SN850X vs SN7100 스펙 비교
항목 | WD SN850X 1TB | WD SN7100 1TB |
---|---|---|
DRAM | ✅ DDR4 1GB 탑재 | ❌ DRAMless (HMB 방식) |
순차읽기 | 7,300MB/s | 7,250MB/s |
순차쓰기 | 6,300MB/s | 6,900MB/s ✅ 더 빠름 |
읽기/쓰기 IOPS | 800K / 1,100K | 1,000K / 1,400K |
TBW 내구성 | 600TB | 600TB |
컨트롤러 | WD | WD 최신형 |
전용 소프트웨어 | ✅ 지원 | ✅ 지원 |
주의점: SN7100의 수치는 캐시 구간 내 성능이며, 장시간 대용량 쓰기에서는 SN850X가 더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합니다.

3. 왜 최신 SSD는 DRAMless + HMB로 가는가?
- ✅ 제조 단가 절감: DRAM 제거로 생산비용 ↓
- ✅ 저전력 & 발열 최소화: 모바일, 노트북 환경에 유리
- ✅ PCIe 4.0~5.0 대역폭 활용 극대화: 컨트롤러 성능 개선으로 DRAM 의존도 감소
- ✅ 시장 세분화 전략: 고급형은 DRAM 탑재, 중급형은 HMB로 분류
4. 실사용 환경 기준 추천
용도 | 추천 SSD |
---|---|
HTS + 엑셀 자동화 + 크롬 멀티탭 + 안정성 중시 | SN850X |
게이밍 + 빠른 부팅 + 가성비 중시 | SN7100 |
영상 편집, 대용량 파일 쓰기, 3D/Blender | SN850X (지속 성능 우수) |
일반 사용자 / 오피스 / 파일 저장 | SN7100 (성능 충분 + 가격↓) |
5. 결론
DRAM 탑재 SSD는 여전히 전문가와 고성능 환경에 필수적인 저장장치입니다. 하지만 최근 HMB 기반 DRAMless SSD들도 빠른 컨트롤러와 PCIe 4.0 기술로 일상 작업에서는 큰 성능 저하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WD SN850X는 데이터 안정성과 연속 쓰기 환경에서 강점을 가지며, WD SN7100은 최신 스펙과 가성비를 고려한 실속형 선택으로 게임 + 크롬 + 일반 작업 중심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본 포스팅은 ChatGPT AI 기반 분석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